본문 바로가기

인물 및 공연사진/공연사진겔러리

살풀이춤 1







살풀이춤

개요

살풀이춤은 수건춤, 즉흥춤 등으로 불리다가 구한 말에 한성준이 춘 춤을 살풀이라고 명명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춤은 한성준이 창작한 것은 아니고 조선 중엽 이후 창우나 기생들이 판소리와 병행하여 승무와 함께 췄던 것을 한성준이 계승, 발전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살풀이는 무속의식에서 액(厄)을 풀어낸다는 뜻으로 유래는 알 수 없지만 고대사회의 무속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이며, 무속의 형식이나 동작은 나타나지 않지만 음악 중에 살풀이장단이라는 독특한 무악장단이 있기는 하다. 이 춤은 남도 지방 무속무용 계통이라는 설과 처음에 무당들이 살풀이 가락에 맞추어 신을 접하기 위한 수단으로 춤을 추었으나 무속행위의 금지령에 따라 무당들이 사당패와 관기로 분화되었고 다시 사당패가 분화하여 기녀로 탈바꿈하는 동안 변화되면서 점차 기방무용으로 계승, 발전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문헌상으로는 김천흥이 <살풀이와 중국의 巾舞, 무용한국사, 1976>에서 밝히기를 1936년 한성준이 무용발표회에서 ‘살풀이춤’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이 처음이라고 전한다. 그 뒤 무용수들의 개성에 따라 각기 독특한 수법으로 다듬어져 오늘까지 전승되고 있다.

내용

살풀이춤은 독무로 추는 춤으로 흰 옷에 옷고름을 늘어뜨리고 흰 수건(또는 천)을 손에 든 채 무악(巫樂)의 반주에 맞추어 맺고 어르고 푸는 3가지 기본 동작을 중심으로 추는 것이 특징이다.
손에 수건(또는 천)을 드는 것은 무당들의 살풀이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기도 하고, 판소리의 창자가 발림(몸짓)을 위하여 부채를 들고 추는 것을 변형시킨 것으로 보기도 한다. 특히 후자의 관점은 살풀이춤의 춤사위 명칭에서 대삼, 소삼, 완자걸이, 잉어걸이 등 판소리 음악의 명칭이 사용되고 있는 점을 근거로 든다.

현재 살풀이춤은 경기도 지역에 전승된 김숙자류의 춤과 전라도 지역에 전승된 이매방류의 춤으로 나누어진다. 김숙자류의 춤은 경기도 무악인 도살풀이곡에 맞추어 추면서 맺고 어르는 춤사위가 섬세하고 고운 면을 가지고 있다면, 이매방류의 춤은 남도 무악인 살풀이곡에 맞추어 추는데 흥이 많고 춤 마디마디에 멋이 흐르는 한편 즉흥성을 띠고 있는 특징이 있다고 평가된다.
김숙자의 살풀이춤은 다른 사람의 춤과는 달리 춤판 자체가 주로 굿판에서 도살풀이곡에 맞추어 흰 옷에 2m 가량 되는 흰 천을 들고 추는 특색있는 춤이며, 발림동작이 다른 유파보다 많이 나오고 우아한 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도살풀이는 ‘도당살풀이’라는 말을 줄인 것으로 무속적인 민속무용의 한 분류이다. 김숙자류 살풀이춤의 발동작은 딛기 전에 이미 무게가 있고 들어올리기 전에 떠오르는 힘이 있으며, 팔사위와 수건놀림 역시 놀이판의 신명처럼 넘치는 흥겨움이 아니라 제단 앞에 나선 사체처럼 엄숙한 신명이 있다. 이들 춤사위 중에서도 특이하게 느껴지는 것은 판소리꾼이 소리하는 중간에 발림하는 것처럼 고개를 끄떡끄떡하는 대목이 있다는 것과 다양한 수건놀이, 무수한 곡선을 형성하는 것, 제자리에 정지한 춤이 많다는 것 등이다.
한편, 이매방의 살풀이춤은 고도로 다듬어진 전형적인 기방 예술의 산물로 춤사위의 기교가 뛰어나며 한과 멋, 흥을 위주로 하여 다른 춤보다 몸의 꼬임이 많고 춤사위가 원형지향적이다. 그 기법에 있어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첫 박에 몸 전체를 위로 올리며 맺었다가 천천히 풀어나간다. 다른 춤사위에 비해 사위가 유난히 까다롭고 수건의 뿌림과 변화 발놀림이 고도의 기교를 필요로 한다.

살풀이춤의 반주 음악에 쓰이는 악기는 가야금을 비롯하여 피리, 아쟁, 대금, 해금, 장고 등의 삼현육각이 사용되며, 처음에 ‘느린살풀이’의 애조 띤 가락으로 시작하여 가락이 빨라지면서 ‘자진 살풀이’로 기쁘게 승화되고, 마지막에는 ‘느린살풀이’로 조용하게 끝난다.

'인물 및 공연사진 > 공연사진겔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당춤 1  (0) 2009.07.09
진도북춤(북춤놀이) 1  (0) 2009.07.08
장구춤 1  (0) 2009.07.07
한량무[선비춤] 2  (0) 2009.07.06
한량무[선비춤] 1  (1) 2009.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