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북춤(북춤놀이)
개요
북춤은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며 크게 경상도 북놀이와 전라도 북놀이로 나눌 수 있다. 전라도의 경우는 다시 외북치기와 양북치기로 나뉘는데, 외북은 전라도 지역 북놀이의 보편적 형식으로 북을 어깨에 매고 한 손으로 북채를 들고 치기 때문에 원박(原拍) 가락에 충실하고 소리가 웅장하다.
양북치기는 진도에 한해서 전승되고 있는데, 양손에 북채를 쥐고 장구를 치듯 하기 때문에 잔가락이 많이 활용되면서 멈춤과 이어짐이 민첩하고 가락이 다양하다. 특히 북가락이 갖는 시간적 소리와 몸짓이 갖는 공간적 움직임이 어우러져 흥을 돋군다.
북춤은 농경사회에서 일꾼들의 흥을 돋우기 위해 추던 춤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농사일에서 뿐만 아니라 마을의 축제 및 종교의식, 마을 주민들의 경사, 오락 등에서 북춤을 추어왔다. 소리와 춤사위로 이루어진 북춤은 수 백년 동안 소리와 춤이 감흥을 같이하여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뤄 생성된 것이며, 이러한 사실은 진도의 북춤 역시 다르지 않다. 진도 북춤은 원래 두레굿에서 풍물로 발전되고 다시 춤으로 발전하였다.
진도북춤은 김행원(판소리 명고수 김득수의 부친)이 명인이었는데, 이 분에게서 사사 받은 임장수, 박태주, 김성남(金成南) 등이 그 계보를 이어오다가 지금은 박관용(朴寬用), 양태옥(梁太玉), 곽덕환(郭德煥), 박병천(朴秉千) 등이 그 뒤를 이어 활약하고 있다
내용
진도북춤의 특징은 대부분의 북춤이 한 손으로 채를 사용하여 공연하지만 진도북춤은 쌍북채를 이용하여 장구와 같이 고정을 시켜 춘다는 것에 있다. 그리고 원박 및 바탕가락을 중시로 하는 외북과는 달리 장고가락과 같은 굿거리, 자진모리, 휘모리가락을 구사하여 감정을 풀어나간다는 점과 풍물의 흥겨움과 신명성에 더불어 아름다운 춤사위가 큰 몫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것 역시 진도북춤만의 특징이다.
한편 장구춤이나 소고춤 같은 경우 여성스러우며 유연성을 느낄 수 있는 반면 북춤은 남성적이고 강하며 활발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진도북춤은 북소리의 강렬함과 장구의 유연하고 다양한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여성적인 면과 남성적인 요소를 동시에 느낄 수 있다. 북춤은 리듬을 그대로 유지한 채 아름다운 멋을 가미시켜 생활과 예술의 조화를 만들어 준다. 또 일반춤이 대부분 무용에 음악을 더해야 하지만 진도북춤은 음악 자체가 필요 없이 소리와 몸짓이 하나되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가진다. 진도 북춤은 삼현육각 및 시나위 가락과 사물이 받쳐주는 형태가 음악적 구성면에서도 차이가 나므로 즉흥적 춤사위와 북가락이 다양한 변화를 일으키면서 무한히 발전할 수 있는 독특한 형태이다.
예능보유자인 박관용이 추는 춤의 춤사위를 보면 그의 북춤은 북으로 추는 살풀이라고 할 수 있다. 까치새로 엮어가는 발사위나 게걸음 같은 옆걸음뛰기, 무섭게 휘돌아가다가 한 장단 슬쩍 먹어버리는 발림 등이 상쾌하고 순수하며 소박하다. 그는 스승에게 배운 북춤 위에 풍류 살풀이의 멋을 얹어 자신만의 북춤을 추고 있다. |
|
|
현재 진도북춤(북놀이)는 전남 시도무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박관용, 양태옥, 김길선 등이 보유자 인정을 받았다. 또한 진도씻김굿 보유자인 박병천 역시 남도 들노래의 북장단과 춤사위, 신청농악, 연신농악의 장단 사위를 기본으로 다듬어진 북춤을 전승하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