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출이나 일몰 촬영시] 박명에 대해 확인 또는 알아가면 유리합니다..
박명의 의미(시민박명, 천문박명, 향해박명)
박명 시각은 장소 (위도, 경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박명 시각 이후 (아침), 또는 이전 (저녁) 시간의 주위의 밝기는 일기조건, 또는 주위 환경에 크게 좌우합니다.
즉 아주 맑은 날 저녁시간 보다도 구름 낀 저녁시간이 훨씬 어둡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박명이라 함은 천문학적으로 해 뜨기 전, 혹은 해진 후 하늘이 어느 정도 밝은 시간을 의미합니다.
해 진 후부터 저녁 박명 시각 전 까지를 우리는 "저녁" 이라고 하고,
아침 박명 시각 이후에서 해뜰 때까지를 "새벽"이라고 합니다.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새벽"이라 함은 먼동이 틀 무렵 (천문 박명)부터 해뜨기 직전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천문학적으로 해뜨거나 지는 시각의 정의는 해의 윗부분이 지평선 아래에 접촉하는 시각입니다.
이 시각은 천문학적으로 접촉하는 시각보다 다소 빨라지거나 느려지게 됩니다.
이 이유는 지구대기의 굴절에 의해 실제보다 해가 떠올라 보이게 되기 때문입니다.
박명 시각은 천문학적으로 천문박명, 항해박명, 시민박명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천문박명
먼하늘이 어스름하게 밝아지는 시기로 지상은 아직 어두운 때가 됩니다.
이때 태양은 지평선 밑 18도에 있고 해가 뜨거나 진 후 약 1시간 12분 전후가 됩니다.
천문학자들은 천문박명이 지나고 난 후부터 밤하늘의 천체를 관측하기 시작한다.
항해박명
1,2등급의 밝은 별이 보이면서 수평선이 확인될 정도의 시간
바다에서 배를 서로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의 밝기를 갖는 시각으로 해가 수평선 아래 15도 도달했을 때를 의미하고 해뜨거나 진 후 1시간 전후가 됩니다.
시민박명
해가 지고 나서나 뜨기 전 약 24분 전후 시각을 의미
해가 아직 떠오르지 않았으나, 또는 해가 졌으나 인간이 활동하는데 큰 지장이 없고,
사람의 얼굴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밝아진 시각을 의미하는데 천문학적으로 태양이 지평선 아래 6도에 있을 때로 정의됩니다.
천문학적으로 계절에 따라 밝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겠지만 실제로 계절에 따라,
혹은 날짜에 따라 같은 시각에 밝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습기나 먼지가 많은 봄철과, 청명한 가을철, 구름 낀 날 비오는 날은 서로 밝기가 다르겠지요.
따라서 계절에 따른 박명일 때의 광 량은 그 날의 대기의 조건
-구름, 비, 안개, 수증기, 먼지- 에 따라 현격하게 달라지질 수 있습니다.
대기가 같은 조건이었을 경우는 계절과 상관없이 해가 진 후 같은 시간이 경과했다면
해가 지평선 아래 같은 위치에 있을 테니까 거의 같은 밝기로 나타나겠지요.
물론 계절에 따른 태양의 운행속도에 의한 차이도 있겠지만 이는 미미한 정도 일겁니다.
특히 일출이나 일몰을 촬영할때는 시민박명 시간대를 알고 가면 일출시 여명이나 일몰 후 더욱 붉으질 낙조를
알 수 있는 조건의 시간때가 된답니다...
또 아침 일출전 야경이나 일몰 후 야경을 담고자 할때는 천문박명의 시간을 알고 가면
가장 좋은 때가 언제인지를 알수 있답니다..
뿐만아니라, 별괘적 같은 장노출 촬영등을 할 경우 천문박명의 시간을 맞추어
그 이후에 가면 오래 기다리지 않고 별을 관찰하고 괘적 등 사진을 담아 낼수 있답니다...
이렇듯 일출과 일몰에 있어 향해에 대한 천문지식을 같이 겸하면
그만큼 좋은 때를 찾아나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옛 조상들의 지혜와 멋을 느낄 수 있지 않나요
'사진관련자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경촬영요령 - 1.이른아침의 신성함 (0) | 2008.05.01 |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촬영한 불상(석상)에 대한 느낌.. (0) | 2008.05.01 |
길거리에서 사진 잘못 찍다간 ''''성폭력 범죄자''''로 몰릴 수 있다(펌) (0) | 2008.05.01 |
사진 촬영시 참고하면 좋은 내용(펌) (0) | 2008.05.01 |
[필름]야경촬영을 하면서 느낀점 (3) | 2008.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