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경 및 접사 사진/꽃이야기겔러리

꽃이야기113[반하(Pinellia tuber)]

꽃이야기113[반하(Pinellia tuber)]


1. 생태

학명 : Pinellia ternata Tenore

분류 : 피자식물문>외떡잎식물강>천남성목>천남성과

형태 : 다년생초본

특징적분류 : 약용식물

자생지 : , 과수원

분포지 : 한국,일본,만주,중국,대만

국내분포지 : 전지역

원산지 : 동북아시아

크기 : 20~40cm

꽃특징 : 야생화

꽃색깔 : 수꽃 : 황백색

파종시기 : 3 순~4 하순

수확시기 : 10

종류 : (뿌리)독성식물

정의, 어원, 동일명

여름에 고온이 되면 잎이 고사되어 반하(半夏)라 함.
치모읍, 끼물읏, 끼무릇,반하(半夏)

꽃생김새

꽃은 화축을 둘러싸고 수많은 잔꽃들이 피는 육수화서(肉穗花序)로 육수화서의 중간 아래쪽에 암꽃이 착생하고 위쪽에는 수꽃의 꽃밥만 착생한다. 육수화서는 불염포(佛焰苞)로 둘러싸여 보호되고 있는 형태이다.

특징

반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높이는 20~40cm이다. 땅속의 10cm 깊이에 덩이줄기(球莖)가 생기고 여기에서 1~2개의 줄기가 발생하며 지름은 1cm정도이다. 잎은 3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지고 잎자루는 길이 10~20cm로서 끝에 살눈(肉芽)이 달리며 위끝에 달리는 수도 잇다. 소엽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3~12cm, 나비 1~5cm이다. 꽃은 원통형이며 암꽃은 밑부분에 수꽃은 윗부분에 달리며 여름에 핀다. 과실은 장과로 가을에 성숙한다. 이 약초는 오늘날 야생종의 품절로 재배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반도 전지역에서 자라며 세계적으로는 일본, 중국, 대만,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반하는 천남성과에 속하는 자웅동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괴경의 외피를 건조한 것을 생약재로 이용하고 있으며 주로 밭이나 과수원의 잡초로 야생하고 있다.

심는방법

봄에 심을 경우 미리 가을에 종구를 준비해 두었다가 심어야 하며, 가을 파종 시에는 동해에 대한 대비를 하여야 한다. 이랑은 120~150cm로 만든다. 심는 거리는 열간 25~30cm, 주간 6~10cm가 적당하며 굵은 것은 점파를 하고 작은 것은 열간만 맞추어 줄뿌림한다. 10a당 종구 소요량은 60~90kg 정도이다.
가꾸기포인트) 종구에 상처가 있을 때 화학 비료를 사용할 경우 종구가 썩게 되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반하는 생명력은 강한 식물이지만 초장이 작아 잡초를 제거해 주지 않으면 생육이 부진해지므로 김매기를 철저히 해야 한다.

채취

반하는 7~9월에 채취한다.흙을 깨끗이 씻고 껍질을 벗긴후 햇볕에 말리거나 약한 불에 쬐어 말린다.

2. 유래

고려 때의 이두 향명으로 치의모립(雉矣毛立)이라고 불렀으나 조선조에는 치모읍(雉毛邑)이라 하였다.

이로 인해
동의보감 에서는 괴무릅, 반하로 변하였다.

현재 지방에서 많이 통용되고 있는 끼무릇괴무릅이 유래가 되었다.

또한 반하라는 이름의 의미는 여름철 고온이 되면 하고현상으로 잎이 고사하여 말라 죽는다 하여 반하(半夏)라는 이름이 유래 되었다.

3. 전설

반하를 '꿩의무릇', '꿩의물구지', '꿩의밥'이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

실제 꿩은 반하를 잘 캐먹는데 꿩이 보기에는 반하의 뿌리가 사람들이 초콜릿이나 꿀을 달고 맛있게 먹는 것처럼

꿩도 반하를 대단히 좋아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꿩이 반하를 좋아하는 이유에 대해 이러한 전설을 이야기이 전한다


[
반하의 달콤한 맛에 반해 하느님과의 약속을 저 버린 꿩]

옛날에 하늘의 하느님이 반하가 필요해서 꿩을 시켜

이곳 지상에 내려보내 반하를 캐오도록 명령하였다고 한다.

꿩을 내려보내면서 하느님께서 꿩에게 준 한가지 약속이 있었다.

반하를 캐오는데 절대로 맛을 보거나 먹어서는 안된다는 것이었다.

이 꿩은 하느님의 심부름을 받고 이곳 지상에서 반하를 캐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꿩이 반하를 캐면서 이 반하가 얼마만큼 중요하고 맛있으면 저에게 이런일을 시켰을까?,

그리고 맛을 보거나 절대로 먹어서는 안된다고 말한 이유는 무엇일까? 하고 의아해 하고 있었다.

늘 이런 의문을 품고 있던 꿩이 호기심이 발동하여

'왜 먹지 말고 맛을 보지 말라고 했을까?'라는 생각이 꿩의 머리속에 늘 맴돌고 있었다.

급기야는 꿩이 반하를 캐면서 남몰래 한번 먹어보기로 결심을 하게됐다
.

꿩이 반하를 캐면서 한뿌리를 먹어보았는데, 아니 이게 어찌된 일인가
?

반하의 뿌리가 꿩에게는 너무도 달콤하고 맛이있어 미칠 지경이었다.

한뿌리를 맛보고서는 이내 반하의 맛에 반해서 계속 캐어 먹고 있었다.

반하의 맛에 정신이 팔린 꿩은 그 달콤한 맛에 유혹되어

하느님과의 약속을 까마득히 잊어 버리고 있었다.

꿩이 반하를 정신없이 캐먹고 있는데,

별안간 하늘에서 천둥과 번개가 치면서 하늘에서 소리가 나는 것이었다.

내가 채취해 오라고 명령한 반하를 얼마나 캤느냐? 라고 우레와 같은 청천벽력의 소리가 하늘에서 났다.
그 때까지도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반하를 캐먹고 있던 꿩은

하늘에서 하느님이 천둥과 번개와 같은 소리로 반하를 빨리 캐오라고 소리치자,

이렇게 답변하였다고 한다
.

'
캐거든, 캐거든
'

너무 맛이 좋아 하느님께 바칠 반하를 끝내 모으지 못하고 혼자 다 먹어 버리고 만 것이다
.

그래서 요즘도 하늘에서 큰 천둥소리와 벼락소리가 칠 때면

꿩들은 큰소리로 '', '' 하고 울어대는데, 그 소리를 음역하면

하느님이 시킨 약속을 까마득히 잊어 버리고 반하에 맛에 반해 계속 캐먹고 있는 꿩이

하느님에게 대답을 한다는 의미에서,

'
캐거든', '캐거든'이라는 소리를 내고 있다고 한다
.

4. 약효

반하는 천남성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의 껍질을 제거해 주로 한약재로 이용된다. 에페드린(ephedrin)과 콜린(choline) 등의 유효성분이 있어 거담·이뇨·두통 등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독성 강해 임신 구토증이나 결핵의 기침에는 사용 금지

반하의 약리작용은 진토(鎭吐), 진해(鎭咳) 및 거담, 해독, 진정작용이 있으며 예로부터 구토증상을 멈추는 약으로 중요하게 사용되었으며, 진정제, 기침, 어지럼증, 두통, 급성위염 등에 쓰이고 있다.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생강과 함께 처방하여 사용하면 부작용도 적고 치료효과도 높다.
반하의 거담작용은 호흡중추를 진정하며 기관지의 경련을 제거하여 해수를 경미케 하고 기관의 분비물을 감소케 하여 준다
.

반하를 건조세말로 하여 침출액을 동물에게 경구적(經口的)으로 혹은 피하주사한 후 최토제(催吐劑)로서 구토를 일으키게 하였으나 구토를 하지않고 정상이었으므로 진토제(鎭吐劑)로 효과가 좋았음을 알게 되었다
.

반하는 차멀미나 뱃멀미 등에도 유효하고 외용으로는 소염, 진통, 지혈의 효과가 있다. 「민간요법」으로 반하 가루를 사람이 졸도했을 때 코 안에 불어 넣으면 깨어나고 절상(切傷)하여 출혈할 때 가루를 바르면 지혈이 되기도 한다
.

그러나 반하는 독성이 강하고 조습(燥濕)작용이 심하므로 임신 중 구토증이나 결핵에 의한 기침이 있을 때는 사용하지 말고 감기로 인한 기침, 가래 그리고 소화 장애에 의한 구역이나 구토증에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

우리나라의 식품공전에 반하는 현재 식용근거 및 안전성, 건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식물원료로 분류되어 식품에 사용불가 원료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반하의 덩이줄기는 한약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량을 적게 해야 한다

덩이줄기를 잘게 썰어 23시간 끓여야 하며 생강과 같이 쓰면 부작용이 적고 치료 효과가 높다. 하지만, 자극작용이 심하므로 반드시 법제해서 약용해야 한다. 즉 아린 맛이 없어질 때까지 물에 우려낸 다음 백반물이나 생강즙을 10분의 1 정도 넣고 뿌리 속이 익을 때까지 뭉근히 달여서 건조시켰다가 약용해야 한다

[성분]

덩이줄기는 정유, 소량의 지방(그 지방산은 약 34%가 고체산이고 66%가 액체산이다), 전분, nicotine, 점액질,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β-sitosterol, choline, β-sitosterol, β-D-glucoside, 3,4-dioxybenzaldehyde를 함유한다.또한 약리 작용이 conine nicotine 과 비슷한 알칼로이드, protoanemonin과 유사한 피부를 자극하는 물질을 함유한다.어린 싹은 homogentisic acid 및 그 배당체를 함유한다
.

[
약리작용
]

1,
진해 거담작용

고양이에게 1% 요오드용액을 우측 늑막강에 주사하여 일으킨 해수에 대하여 생약 0.6g/kg의 탕제를 내복시키면 뚜렷한 진해 작용이 있다., codeine 1mg/kg을 내복시켰을 때의 효력보다는 약간 떨어진다.약효는 5시간 이상 지속되었고 0.5~1g/kg을 정맥 주사해도 뚜렷한 지해 작용이 있었다.개에게 1g/kg을 내복시켰는데 호흡기의 점액이 더 많이 분비되지 않았고 거담 작용도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다.토끼의 위에 정제한 반하 분제(粉劑)를 주입하거나 50% ethanol 추출물 및 침제를 복강 내에 주사하면 모두 pilocarpine이 일으키는 타액 분비를 감소시킨다.또 토끼에게 탕제를 내복시키면 타액이 처음에는 많이 분비되고 후에 감소하여 타액 중의 고형 성분이 증가한다.따라서 인후통을 완화하는 작용이 있는데 그 유효 성분은 알칼로이드라는 보고도 있다.

2, rat
의 실험성 진폐증에 대한 예방 치료 효과

rat
기관에 석영 가루 40mg의 생리식염수 현탁액 1ml를 주입하여, 진폐증(pneumoconiosis)의 모델을 만든다.매일 또는 격일로 생강반하를 0.15% 염산으로 추출한 현탁액이나 60% 알코올로 추출한 액체를 1개월 동안 복강 내에 주사하면 진폐증(pneumoconiosis)의 진행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데, 그것은 폐의 건조 중량과 습윤중량이 약간 낮아지고 전체 폐의 collagen 함량이 감소되며 병리적 변화가 비교적 가벼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조기에 약을 사용하면 효과가 있고 늦으면 효과가 낮아진다.규폐 조직의 이산화규소 함량에 대해서는 뚜렷한 작용은 볼 수 없었다.95%의 알코올로 추출한 생강반하 제제는 효과가 없었다.생강반하의 부작용은 주로 체중이 대조군에 비하여 뚜렷이 감소하고 또한 복막의 유착을 일으키는 것이다.그러나 추출한 '7호 물질'은 실험성 규폐에 대하여 같은 효과가 있었고 복막의 유착도 가벼웠다.

3,
진토(鎭吐) 작용

digitalis tincture
를 비둘기에게 정맥 주사하는 최토법을 사용했다.제반하환(製半夏丸), 제반하(製半夏) 또는 생반하(生半夏)의 유동 엑스제, 강반하(薑半夏) 또는 백반반하(白礬半夏)의 현탁액, 강반하(薑半夏) 또는 생반하(生半夏)의 탕제를 3g/kg씩 매일 2~3회 계속하여 내복시키면 모두 상당한 구토 억제 작용이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apomorphine 또는 황산동에 의한 개의 구토에 대하여는 탕제를 위에 주입해도 상당한 구토 억제 작용이 있었다.또 탕제나 에텔 추출물은 apomorphine digitalis tincture가 일으키는 구토에 대하여 구토 억제작용은 없으나, 황산동에 의한 개의 구토에는 뚜렷한 구토 억제 작용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반하에서 추출한 phytosterol을 고양이에게 내복시키거나 피하 주사하면 소량의 apomorphine 및 황산동에 의한 구토를 예방할 수 있지만 대량의 aapomorphine 및 황산동을 사용한 것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었다.

4,
해독작용

반하에 함유되어 있는 glucuronic acid의 유도체에는 현저한 해독 작용이 있으며 strychnine의 마우스에 대한 LD50을 상승시키고 acetylcholine에 대해서도 해독 작용이 있다.

5,
기타작용

20%
에틸 알코올로 제조한 엑스를 마취시킨 개에게 정맥 주사하면 혈압이 단시간 동안 하강하지만, 반복하면 급속하게 내성 현상이 일어난다.근육 주사에서는 영향이 없었다.적출한 개구리의 심장 및 토끼의 심장에 대해서는 억제작용이 나타나지만 토끼의 체내 자궁 또는 자궁 누관에 대해서는 명확한 작용이 없다.적출한 마우스의 자궁에 소량을 쓰면 흥분되었고 대량을 쓰면 억제되었다.조직 화학적 연구에 의하면 마우스에게 탕제를 내복시키면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비에 약간의 영향이 있으나, 현저하지는 않았다.반하에서 추출한 일종의 알칼로이드는 화학적 성질과 약리 작용이 nicotine coniine과 비슷하다.

독성

엑스를 마우스에게 복강 내 주사했을 때 LD50DMS 13.142g/kg이다.토기에게 1 1마리 당 0.5g 40일 동안 계속하니 상태는 그대로 양호했고 체중이 증가햇다.그러나 용량을 2배로 하니 다수의 토기가 설사를 하고 반수의 토끼가 20일 이내에 사망했다.마우스에게 각종 제제의 현탁액을 내복시키고 사망을 지표로 하였더니 생반하의 독성이 가장 컸으며 표반하(漂半夏: 물에 오래 담가 둔 반하)의 독성이 그 다음이었고 생강침반하(生薑浸半夏: 강반하:薑半夏)와 증반하(蒸半夏)가 또 그 다음이었으며 백반반하(백반반하: 청반하:청반하)의 독성이 제일 적었다.이상의 4가지를 비둘기의 위에 주입하면 어느 것이나 모두 구토를 일으켰다.guinea pig에게 먹이면 목이 쉬거나 소리가 나오지 않았다.그러나 백반반하(白礬半夏)는 이와 같은 부작용은 없었다.백반(白礬)으로 처리하면 반하(半夏)의 독성이 제거되는 것 같다.반하의 최토 성분은 물에 용해되지 않거나 잘 용해되지 않으며 가열하면 파괴된다.반하의 수용성 성분에 초사염을 가하여 침전시킨 물질 중에는 개구리 및 마우스의 골격근에 경련을 일으키는 물질이 들어 있다.염기성 초산연으로 생기는 침전물에는 개구리의 동공을 산대시키는 물질이 들어 있다.여과액에는 개구리에게 중추성 마비 및 curare와 같은 근육을 마비시키는 물질이 들어 있다.

[
반하 법제법
]

1,
생반하(生半夏): 불순물을 잘 가려내고 체로 쳐서 부스러기 등을 제거한다
.

2,
법반하(法半夏): 깨끗한 반하를 햇볕을 피하여 찬물에 담가 둔다.산지, 품질 및 알갱이의 크기에 따라서 침수 일수를 조정한다.10일 동안 담가서 흰 거품이 나오면 반하 60kg에 백반 1200g을 가하여 하루 지나면 물을 간다.핥아 보고 약간 저린 느낌이 있으면 꺼내어 잠시 햇볕에 말린다.따로 감초를 거칠게 갈아서 물을 가하여 달인다.그 탕액에 석회(石灰) 덩이를 담가서 다시 물을 가하여 섞는다.석회의 찌꺼기를 제거하고 반하를 넣은 항아리에 부어서 매일 섞어 중심부의 백색이 없어지고 황색이 침투하여 균일한 색이 되면 꺼내어 그늘에서 말린다.반하 60kg에 백반 1200g, 감초 6kg, 석회(石灰) 덩이 12kg을 사용한다
.

3,
강반하(薑半夏): 깨끗한 반하를 골라,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핥아보고 저리는 느낌이 날 때까지 담가 둔다.따로 생각을 엷게 썰어 달여서 백반(白礬)과 반하를 넣고 액이 침투할 때까지 달인 다음 6할 정도 마를 때까지 그늘에서 말려 다시 쪄서 뜸들이고 썰어서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말린다.반하 60kg에 생강15kg, 백반 7.5kg을 쓰는데 여름에는 8.7kg을 쓴다
.

4,
청반하(淸半夏):깨끗한 반하를 골라 상술한 방법으로 핥아서 저린 느낌이 날 때까지 담그었다가 백반 (白礬)과 물을 가하여 액이 침투할 때까지 달인 다음 6할 정도 마를 때까지 그늘에서 말려, 다시 쪄서 뜸들이고 썰어서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말린다.반하 60kg에 백반 7.5kg(여름에는 8.7kg)을 쓴다
.

5, <
뇌공포구론>: "반하 150g을 처리하려면 찧은 백개자(白芥子)의 분말 75g과 미초(米酢) 225g을 탁해질 때까지 섞고 반하를 넣어서 3회 씻는다.점액이 나오는데, 이것을 잘 씻지 않으면 기역(氣逆)과 간기(肝氣)의 팽만을 일으킨다
."

6, <
도홍경>: "반하를 쓸 때에는 먼저 끓인 맹물에 10회 정도 씻어서 충분히 매끄럽게 한다.그렇게 하지 않으면 인후를 자극한다
."

반하의 다른 이름은 반하[半夏, 지문:地文, 수옥:水玉: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수전[守田, 시고:示姑: 명의별록(名醫別錄)], 양안반하[羊眼半夏: 당본초(唐本草)], 화고[和姑: 본초강목(本草綱目)], 갈자초[蝎子草: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지주반하[地珠半夏: 곤명약식조사보고(昆明藥植調査報告)], 마우과[麻芋果: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삼보도[三步跳, 범석자:泛石子: 호남야생식물(湖南野生植物)], 지자고[地鷓鴣, 지자여:地茨茹: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노황취[老黃嘴, 노화상두:老和尙頭, 야우두:野芋頭, 노괄두:老鴰頭: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착취두자[捉惰子, 지파두:地巴豆: 하북약재(河北藥材)], 무심채근[無心菜根, 천낙성:天落星, 노괄근:老鴰近, 마우자:麻芋子: 산동중약(山東中藥)], 지뇌공[地雷公, 노과산:老瓜蒜, 구우두:狗芋頭: 중약지(中藥誌)], 주반하[珠半夏: 광서중약지(廣西中藥誌)], 열도채[裂刀菜: 요녕경제식물지(遼寧經濟植物誌)], 마초자[麻草子: 안휘(安徽), 토농약개소(土農藥介紹)], 삼엽반하[三葉半夏: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과무웃, 며느리목쟁이, 꿩의무릇, 꿩의밥, 제비구슬, 꿩의물구지 등으로 부른다
.

반하는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성이 있다
.

1, <
신농본초경>: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
2, <
명의별록>: "생것은 약간 차며 익은 것은 따뜻하고 독이 있다
."
3, <
약성론>: "큰독성이 있다
."
4, <
일화자제가본초>: "목구멍이 아리게 맵다
."
5, <
의학계원, 주치비요>: "성질은 따뜻하며 맛은 맵고 쓰다고 하였다
."

(), 위경(胃經)에 작용한다
.

1, <
탕액본초>: "족양명경(足陽明經), 족태음경(足太陰經), 족소양경(足少陽經)에 들어간다
."
2, <
뇌공포제약성해>: ", , 위경에 들어간다
."
3, <
신농본초경소>: "족태음(足太陰), 양명(陽明), 소양경(少陽經), 수소음경(手少陰經)에 들어간다
."
4, <
본초휘언>: "수양명(手陽明), 수태음(手太陰), 수소음경(手少陰經)에 들어간다
."
5, <
본초재신>: ", , 폐경에 들어간다
."

반하는 습사를 없애고 가래를 삭이며 치밀어 오르는 기를 내리고 구토를 멎게 하며 비(: 뱃속결릴비)를 없애고 엉기어 있는 사기를 흩어지게 하는 효능이 있다.습담냉음구토(濕痰冷飮嘔吐), 반위(反胃), 해천담다(咳喘痰多), 포격창만(胞膈脹滿), 담궐두통(痰厥頭痛), 두훈불면(頭暈不眠)을 치료한다.외용하면 옹종(癰腫)을 제거한다
.

1, <
신농본초경>: "상한한열(傷寒寒熱), 심하견(心下堅),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두현흉창(頭眩胸脹), 해역(咳逆), 장명(腸鳴)을 다스리며 기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을 내리고 지한(止汗)한다
."

2, <
명의별록>: "심복흉격(心腹胸膈)의 담열만결(痰熱滿結), 폐기(肺氣)가 치밀어 올라서 기침을 하고 숨이 찬 증세, 심하급통견비(心下急痛堅痞), 시기구역(時氣嘔逆)을 제거한다.부스럼을 없애고 낙태시키며 위황(痿黃)을 치료하고 안색을 윤기있게 한다.생것은 최토(催吐)하고 익은 것(포제한 것)은 설사하게 한다
."

3, <
약성론>: "담연(痰涎)을 없애고 식욕을 증진시키며 비()를 건강하게 한다.구토를 멎게 하며 흉중(胸中)의 담만(痰滿)을 없애고 폐기(肺氣)를 내리고 해결(咳結)을 주치한다.신선한 것을 문질러 바르면 없어지지 않는 옹종(癰腫)을 제거하며 유영(瘤癭)을 제거한다.기허(氣虛)로 담기(痰氣)가 있는 증상에는 이것을 가하여 사용한다
."

4, <
일화자제가본초>: "토식반위(吐食反胃), 곽란(霍亂)에 의한 근육의 경직성 경련, 복창냉(腹脹冷), 담학(痰瘧)을 치료한다
."

5, <
본초도경>: "위냉(胃冷), 구홰(
)를 다스린다."

6, <
의학계원>: "한담(寒痰)이 있고 체한(體寒)으로 음냉(飮冷)하여 폐를 상()한 기침을 치료한다.위기(胃氣)를 온화하게 한다.위한(胃寒)을 물러가게 하며 식욕과 소화를 촉진한다.태양궐(太陽厥), 두통을 치룧ㄴ다.반하가 아니고는 제거할 수 없다.<주치비요(主治秘要)>에는 위습(胃濕)을 마르게 하고 담()을 제거하며 비위(脾胃)의 원기를 북돋우고 종기를 제거하며 맺힌 것을 흩어 버린다.흉중(胸中)의 담연(痰涎)을 제거한다고 했다
."

7, <
진형>: "미릉골통(眉稜骨痛)을 치료한다
."

8, <
본초강목>: "복창증(腹脹症), 눈을 감지 못하는 증세, 백탁(白濁), 몽정, 대하를 치료한다
."

[
복용법
]

하루 6g~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또는 환을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
주의사항
]

모든 혈증(血證) 및 음허조해(陰虛燥咳: 허약 및 건해:乾咳), 진액이 손상되어 구갈증이 있는 환자는 복용하면 안 된다
.

1, <
신농본초경집주>: "사간(射干)을 사(使)로 한다.조협(
)을 꺼린다.웅황(雄黃), 생강(生薑), 건강(乾薑), 진피(秦皮), 구갑(龜甲)을 꺼린다.오두(烏頭)에 반()한다."

2, <
약성론>: "양혈(羊血), 해조(海藻), 이당(飴糖)을 꺼린다.시호(柴胡)를 사(使)로 한다
."

3, <
장원소>: "모든 혈증(血證) 및 입이 마른 환자는 복용하면 안된다.임신부는 이를 삼가야 한다.생강을 쓰면 해가 없다
."

4, <
의학입문>: "각종 혈증(血證) 및 구갈(口渴)의 증에는 복용하면 안된다
."

반하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한다
.

[
끼무릇
(Pinellia ternata Breit.)

다른 이름: 반하, 과무웃, 며느리목쟁이, 꿩의무릇, 꿩의밥, 제비구슬, 꿩의물구지


식물: 높이 15~3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덩이줄기에서 1~2개의 잎이 돋아난다.잎은 3개의 타원형 쪽잎으로 갈라졌다.풀색의 긴 꼬리가 달린 꽃갓 속에 꽃이삭이 있다.

각지의 들과 밭에서 자란다
.

덩이줄기(반하): 덩이줄기를 캐어 물에 씻고 잔뿌리와 겉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초여름에 잎이 스러지므로 '반하'라고 한다
.

성분: 덩이줄기에 에테르엑스 약 1%, 정유 0.003~0.013%, β-시토스테롤과 그 배당체, 콜린(0.015%), 트리테르펜 화합물, 글루쿠론산과 그 유도체, 아스파라긴산, 아르기닌, 리진, 오르니틴, 세린, 글리신, 알라닌, 시트롤린, β-아미노버터산, 물에 물리는 배당체, 포도당, 람노오스가 있다.또한 기름, 회분 1.9%(마그네슘 약 49%, 칼슘 약 15%), 프로토아네모닌과 비슷한 점막자극물질, 휘발성 알칼로이드, 0.002%의 에페드린이 있다
.

뿌리껍질에는 아린맛이 있는 호모겐티신산이 있다.생뿌리는 목 안을 세게 자극하는데 이것은 천남성과 식물의 겉껍질에 들어 있는 싱아산칼슘의 바늘 결정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그러므로 뿌리조각을 희염산에 담그면 자극 작용이 없어진다.요즘 3, 4-디글루코질-벤즈알데히드가 분리되었다.비당 부분인 3,4-디히드록시-벤주알데히드는 센 아린맛이 있다
.

작용: 덩이줄기 달임약을 동물에게 먹이거나 주사할 때 황산구리와 아포모르핀에 의한 게우기를 멈추는 작용이 있다
.

신선한 덩이줄기 또는 달임약은 게움멎이작용이 없고 오히려 게우는 작용이 있다.이것은 예로부터 달여서 써온 것이 옳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덩이줄기 달임약은 또한 기침멎이작용이 있다.이 작용은 휘발성 알칼로이드가 중추신경 특히 기침중추를 억제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독성은 약하고 심장, 혈관 계통에 대한 특별한 부작용은 없다
.

게우기(구토)를 멈추는 성분이 글루쿠론산 유도체 또는 물에 풀리는 배당체 성분일 것이라는 견해도 있으나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요즘 ι-에페드린이 들어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이 물질로 생각하게 되었다.아포모르핀으로 게우기를 일으킨 개에게 ι-에페드린을 0.5~1.0mg/kg 먹이면 게우기가 멎는다
.

응용: 동의치료에서는 예로부터 게우는 것을 멈추는 약으로 중요하게 써왔다.그리하여 구역질과 토하는 것을 멈추는 약, 진정약, 가래삭임약으로 위 안에 물이 고여서 오는 메스꺼움(위내정수), 임신게우기, 중추성 게우기, 요독증성 게우기, 기침, 어지럼증, 머리아픔, 가슴활랑거림, 급성 위염, 목구멍이 곪아서 아픈 데, 잠을 이루지 못할 때에 쓴다. 생강과 같이 쓰면 부작용도 적고 치료 효과도 높다
.

민간에서는 신선한 덩이줄기와 생강을 짓찧어 즙을 탈모증에 바른다
.

끼무릇덩이줄기 달임약(3~6g:200cc): 잘게 썬 덩이줄기에 물을 넣고 2~3시간 끓인 다음 식혀서 거른다.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

끼무릇덩이줄기가루: 게움멎이약으로 입덧, 급성 위염과 중독성, 신경성으로 인한 게우기 때 한번에 2g씩 하루 3번 먹는다
.

생강반하탕: 잘게 썬 끼무릇덩이줄기 7g과 생강 3g에 물을 넣고 달여서 150ml로 만든다.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끼무릇덩이줄기, 생강 각각 6g과 솔뿌리혹 5g에 물을 넣고 200ml 되게 달여(유동엑스) 하루 3~4번 나누어 먹기도 한다
.

생강반하단물약: 끼무릇덩이줄기 350g, 마른 생강 150g, 사탕, 방부약으로 전량
1,000ml.
입덧, 급성 위염 때의 게우기, 멀미 때 한번에 4~6ml씩 하루 3번 먹는다
.]

반하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1,
습담, 가벼은 증상인 해수, 면황(面黃), 지체침중(肢體沈重), 기와불수(嗜臥不收), 복부 팽만과 소화불량

더운물로 씻은 천남성과 반하 각 37.5g, 백출 56g을 미세한 분말로 하여 풀로 벽오동씨 크기로 환을 만든다.50~70알씩을 생강탕으로 충복한다. [소문병기보명집(素問病機保命集)]

2,
습담천급(濕痰喘急) 및 흉통(胸痛)을 멎게 하는 처방

반하를 다소에 관계없이 참기름으로 볶아서 분말로 간다.죽으로 벽오동씨 크기로 환을 지어 30~50알씩 생강탕으로 충북한다. [단계심법(丹溪心法)]

3,
담음(痰飮)으로 인한 해수(咳嗽
)
큰반하 600g을 뜨거운 물에 7회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곱게 가루낸다.생명주 자루에 넣고 사기 그릇에 담은 맑은 물로 씻어서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반하의 분말을 사기 그릇에 담은 채 햇볕에 쪼이고 밤이슬을 맞히며 매일 새 물로 갈아 주면서 7일 후에 물을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반하의 분말 37.5g에 수비(水飛)한 주사(朱砂)가루 3.75g을 가하여 생강즙으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70환을 묽은 생강탕으로 식후에 복용한다. [수진방(袖珍方), 진사반하환(辰砂半夏丸
)]

4,
심하(心下)에 지음(支飮)이 있는 증상(구토하는 환자는 원래 구갈이 있어 해소시켜야 하는데 위()에 지음(支飮)이 있으면 갈하지 않다)의 치료

반하 1, 생강 300g에 물을 7되 붓고 1.5되가 되게 달여서 2회로 나누어 온복한다. [금궤요략(金匱要略), 소반하탕(小半夏湯)]

5,
비위허약(脾胃虛弱), 호식산냉(好食酸冷), 한담정적(寒痰停積), 구역오심(嘔逆惡心), 타액에 점성이 많아지는 증상, 만성 구토로 죽이나 약을 복용하지 못하는 증상, 수족역냉(手足逆冷), 목현신중(目眩身重), 상한시기(傷寒時氣), 구토할 기미는 있으나 구토하지 못하는 증상, 혼궤민란(昏憒悶亂), 또는 음주과다, 중한정음(中寒停飮), 후중연성(喉中涎聲), 건홰불지(
不止)등의 치료
백색 부분을 제거한 진피(陳皮), 삶은 반하(半夏) 263g을 잘 게 썰어서 거친 가루로 만든다.반하 11g과 생강 10()을 물 2컵으로 1컵이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온복한다.수시로 복용한다.2회 복용분의 찌꺼기를 다시 달여서 1회 복용한다. [국방(局方), 귤피반하탕(橘皮半夏湯)]

6,
갑작스런 구토, 심하비(心下痞), ()에 정수(停水)가 있는 증상, 현계(眩悸)의 치료

반하 1, 생강 300g, 복령 113g을 물 7되로 달여서 1.5되를 취한다.나누어 데워서 다시 복용한다. [금궤요략(金匱要略), 소반가복령탕(小半加茯苓湯)]

7,
반위구토(反胃嘔吐
)
잘 씻은 반하 2, 인삼 113g, 정제한 벌꿀 1되를 물 1 2되로 벌꿀과 함께 240회 끓어 오르게 한다.2.5되가 되게 졸여서 1되를 온복한다.나머지도 다시 복용한다. [금궤요략(金匱要略), 대반하탕(大半夏湯
)]

반하를 여름에 꽃이 필 때 덩이 줄기를 파서 모래와 물을 넣은 용기 속에 넣고 휘저어 겉껍질을 벗기고, 물로 씻어서 햇볕에 말린 것을 '반하'라고 한다.메슥거림이나 구토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흔히 한방에서 반하에 복령, 생강 등을 넣은 소반하복령탕이 임신부의 입덧을 가라앉히는 데 사용되는 데 주의사항으로 독성이 있으므로 위의 기록된 처방처럼 용량을 소량 정확히 사용해야 한다
.

민간에서는 구토을 멈추기 위해 1일 반하 8g에 생강 5g을 넣고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식혀서 하루에 여러 차례 나누어 마신다.반하에 생강을 넣지 않으면 맛이 강해서 마시기가 힘들기 때문에 예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경험처방대로 생강이 반하의 독성을 적당히 잡아주고 상호 협력작용에 의해 안전하게 마실 수 있는 것이다
.

'풍경 및 접사 사진 > 꽃이야기겔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이야기112[족두리풀]  (0) 2011.04.18
꽃이야기111[중의무릇]  (0) 2011.04.10
꽃이야기110[얼레지]  (0) 2011.04.10
꽃이야기109[개별꽃]  (0) 2011.04.10
꽃이야기107[진달래꽃]  (2) 2011.03.27